영화 / / 2022. 12. 27.

돈룩업 넷플릭스 재난영화, 신랄한 풍자극

반응형

돈룩업(Don't Look Up) 줄거리

미시간 주립대학의 박사 과정생 케이트는 혜성을 발견합니다. 케이트는 지도 교수인 민디 교수에게 이를 알렸습니다.

교수는 자랑스러워했습니다. 그러나, 혜성의 궤도를 분석한 민디 교수는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두 사람은 서둘러 NASA에 이 사실을 알렸습니다.

두 사람에게 전해 들은 NASA의 테디 오글소프 박사는 이 사실을 백악관에 재차 보고합니다.

 

오글소프 박사와 민디 교수 그리고 케이트는 백악관으로 불려 갔습니다.

하지만 몇 시간 동안 밖에 대기하라는 말만 들었습니다. 마침내 시간이 지나고 셋은 안에 들어가 대통령과 참모들에게 그 사실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은 중간선거와 여러 문제에 신경을 쓰느라 혜성 얘기는 들은 체도 안 했습니다.

 

그 후 방송에서라도 이 사실을 알려야겠다고 생각한 민디와 케이트는 뉴욕 헤럴드에 보도하러 나섰습니다.

그렇게 더 데일리 립이라는 아침 생방송 토크쇼에 나갔습니다. 하지만 토크쇼 진행자는 혜성이 지구와 충돌한다는 사실을 매우 가볍게 여겼습니다. 마치 그저 가십거리인 것처럼 행동했습니다.

 

어느덧 혜성 충돌까지 6개월이 남았습니다. 그러나 사람들끼리 힘을 모아야 할 때도 혜성의 정보를 이용해 돈을 벌려는 사람과 지위를 되찾으려는 대통령 등등 어이없는 일이 벌어지는 나날이었습니다. 그리고 부정확한 정보가 범람하고 사람들은 소셜미디어에 빠져있었습니다. 지구 종말의 위기 속에서도 이익만 바라보는 사람과 진실을 알리려는 민디와 케이트가 있습니다.

 

돈룩업 출연진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 랜달 민디 박사

제니퍼 로렌스 - 케이트 디비아스키

롭 모건 - 테디 오글소프 박사

조나 힐 - 제이슨 올린

마크 라이런스 - 피터 이셔웰

티모시 샬라메 - 율

아리아나 그란데 - 라일리 비나

 

스포일러 주의

 

돈룩업 리뷰

돈룩업은 블랙코미디, 재난영화입니다.

조나 힐이 연기한 제이슨 올린과 대통령 역할인 메릴 스트립의 현실감 있는 연기로 세상을 더욱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 같습니다.

 

결론을 말하겠습니다. 피터 이셔웰과 대통령은 혜성의 궤도를 수정하는 것을 포기합니다.

그리고 수많은 과학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혜성을 조각내는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조각을 내지도 못하고 궤도를 수정하지도 못한 채로 혜성은 지구에 갖다박게 됩니다.

최후의 최후에도 대통령과 제이슨 올린은 자신의 이익만 관철합니다. 참 어리석은 사람인 것 같습니다.

 

사람들은 혜성이 지구에 떨어지는 것을 바라보기만 합니다. 몇몇은 가족과 마지막을 맞이하고 몇몇은 기도를 하며

몇몇은 식사를 하다가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는 것으로 영화는 끝이 나게 됩니다.

돈룩업 총평

신랄한 풍자와 블랙코미디를 매우 잘 나타낸 영화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더 중요하다고 느끼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사람의 위에 서는 것이 얼마나 무거운 일인지를 깨닫게 해주는 영화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제일 높은 사람 한 사람이 잘못된 선택을 내리면 그 밑에 있는 사람은 전부다 피해를 보게 됩니다.

이러한 재난 상황이 실제로 현실로 다가온다고 생각하면 너무나도 끔찍한 일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만약 매우 큰 재난이 일어나게 된다면 영화의 내용처럼 흘러갈 가능성이 꽤 높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평온한 날을 깨뜨리지 않고 싶은 나머지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믿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은 믿지 않으려는 상황이 가능성 높게 나타날 것입니다. 사람들은 원래 하던 대로 편안히 생활하고 싶기 때문에 갑자기 남은 여생을 심각하게 생각하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진실을 알리거나 알리려고 하는 사람을 비판하거나 심지어 서로 싸우는 양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마치 영화에서 돈룩업과 룩업이 서로 싸우는 것처럼 말입니다. 우리는 이 영화에서 많은 것을 배워야 할 것입니다. 한 나라를 지배하는 사람이 무조건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 재난 상황에 놓였을 때 무분별한 선긋기와 싸움을 어떻게 해야 순조롭게 풀어나갈 수 있을지 궁리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